다이어트와 체중조절
상업화된 다이어트와 미시권력의 작동 미시적 규율 하에 작동하는 다이어트의 핵심은 자신의 신체에 대한 ‘결핍’, ‘불안’에서 시작하여, 스스로를 감시하고 통제하도록 하는 ‘자기 비난’과 ‘죄책감'과 같은 도덕 감정이다. 과체중이 “건강에 해롭다”는...
박태환 도핑 스캔들 바로 보기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ourt of Arbitration for Sport)의 결정에 따라 박태환이 리우 올림픽에 출전하게 되었다. 결국 ‘출전’으로 결론 났지만 대한체육회가 입은 타격은 적지 않다. 게다가 대중의 생각은 아직도 ‘대한체육회는...
잉글랜드에 라이센스 지도자가 부족한 이유
잉글랜드가 유로 2016 16강전에서 탈락했다. 축구의 종주국이자 세계에서 가장 흥행한 프로리그를 가지고 있는 나라지만, 그에 비해 국제 대회 성적이 좋지 못했다. 월드컵의 경우 잉글랜드에서 개최되었던 1966년에 단 한번 우승했을 뿐이다....
스포츠의 이분법적 성별 구분과 그 한계
“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진다”는 말의 전제는 모든 인간이 남성 아니면 여성이라는 이분법적 가정이다. 스포츠도 마찬가지이다. 승마와 요트의 두 개 종목을 제외한 모든 종목의 기본 형식은 남자와 여자를 구분한다. 이처럼 인간 사회는...
래디컬 관점과 프라이드 하우스
문화적 규범이든, 제도이든, 사회의 모든 장치들은 그 자체로 생각의 틀을 반영한다. 그것은 체계이며 관념을 규정하는 굴레이다. 모든 종목의 참가 자격을 남성과 여성으로 명확하게 구분하는 오늘날의 스포츠는 젠더의 분극화를 고착시키고 각각의 성...
KCC 연고 이전과 미디어 프로파간다
기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농구 KCC가 전주에서 수원으로 연고지 이전을 계획하고 있다. 체육관이 낡아 전주에서 더는 못해 먹겠으니, 좋은 체육관이 있는 수원으로 이사를 가겠다. 전주시는 시민들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도대체 농구에 투자를...
한국여자 골프와 골프대디
세계무대에서 한국 여자 골프의 위상은 대단하다. 거의 모든 LPGA의 대회 때마다 Top 10 리스트의 서넛은 한국 선수의 차지이다. 올해도 LPGA 상금랭킹 25위 안에 한국 선수가 무려 11명이나 포함되어있다. 한국 여자들은 왜 특별히...
시장없는 프로선수
우리가 비인기 종목선수를 지원해야 한다는 생각이 드는 이유는 그들이 올림픽 때 국가의 이름을 걸고 따내는 금메달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국가가 있지도 않은 시장을 인위적으로 만들고 거의 모든 비인기종목 엘리트 선수의 인건비를 세금으로 대는 것이 과연 효
전창진의 승부조작 의혹과 전자투표제의 도입
승부조작을 결심한 감독은 경기포기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 후보선수 기용은 기본이고, 필요할 때 작전 타임을 부르지 않거나, 선수 간 미스 매치를 만들 수도 있고, 상대 수비를 뚫을 수 없는 전술을 구사하고, 벤치에 자빠져 태업을...
공공 vs 민간: 미국 내 프로야구장 건설을 위한 협상의 정치경제
허구연 위원은 이런 얘기를 많이 한다. “야구장의 운영권과 광고권을 대체로 지방자치단체에서 갖고 있다 보니 관중수가 늘더라도 구단이 적자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야구장 등 체육시설에 공공재 개념을 도입해 구단에게 장기임대를 해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