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답하라~ 노선영!
이번 올림픽에서 김보름의 질주는 내게 가장 큰 관심사였고, 저녁 약속 시간에 조금 늦으면서 까지 결승 경기를 봤다. 그의 인터뷰는 추후에 봤는데, 여전히 마음이 아팠다. 아직도 가슴에 담아둔 한이 많아 보였고, 혹시나 모를 반응에 지독히 젤제하는...

올림픽 보이콧과 개인의 밥벌이
며칠 전 한체대 허진석 교수가 도쿄 올림픽에 대한 글을 올렸다. 내용을 요약하자면 1. 병역 특례나 메달 연금을 폐지해야 한다. 이런 걸로 스포츠를 통치하는 건 후진국 시절에나 하는 거지 지금 시대에 맞지 않는다. 2. 일본이 지도에 독도를 그려...


사라지는 아파트테니스장
# 사례 1. 강동구 S동 H아파트 1983년 지어진 이 단지는 5층으로 구성된 대형 저층 단지이다. 2010년 재건축 시공사를 선정 인가를 받아 2013년 시공을 앞두고 있다. 단지 내에는 코트가 2면이 있는데 그 코트는 테니스 동호회 회원들...

한국 아파트에는 왜 테니스장이 많은가?
아파트 단지 내 의무설치 시설로서 테니스장 주택은 자신이 속해있는 실제 계층보다 더 상위 계층에 속해 있음을 입증하는 수단 가운데 하나이다(발레리 줄레조, 2007). 이 같은 관점에서 공동주택 내 설치되는 부대시설에 대한 입주자들의 선호는...


1980년대 부동산 조세정책과 강남 테니스장
한국의 도심 속 테니스장의 사회적 생산 과정에서 중요한 계기가 되었던 요인 중 하나는 부동산 조세정책이다. 과거 테니스장 경영인들 사이에서는 한국의 테니스가 부동산 붐에 편승해 저변확대, 발전해왔다는 말이 있었을 정도이다. 1980년대 부동산...


사치성 레저시설로 찍혔던 테니스장
70년대 초반 문을 열고 영업을 시작한 사설 테니스장들 가운데 일부는 휴게실과 라커룸 등이 갖추어진 클럽하우스와 나이트, 주차장 등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회원제라는 경영방식을 통해 특정 계층을 위한 차별적 공간을...


1970년대 테니스 인구의 증가와 사설 테니스장
김의진(71세)은 60년대 대학 생활을 했고, 71년부터 육군사관학교에서 체육교관을 지내면서 처음 테니스를 접했다. 그에 따르면 학창시절 그가 다니던 대학 캠퍼스 내에 이미 테니스장이 있었다. 그러나 당시 학생 신분으로서 테니스를 친다는 것은...

도쿄올림픽 보이콧해야 하나?
며칠전 한 교수분이 페이스북에 도쿄 올림픽에 대한 글을 올렸다. 내용을 요약하자면 1. 병역 특례나 메달 연금을 폐지해야 한다. 이런 걸로 스포츠를 통치하는건 후진국이 행태이지 지금 시대에는 맞지않는다. 2. 일본이 지도에 독도를 그려 넣었고,...

나르시시즘에 빠진 올림픽 결산
올림픽이 끝났다. 언제나 그렇듯 이런 행사가 끝이 나면 전문가 집단의 결산 평가가 난무한다. 많은 사람들이 많은 얘기를 했지만 그 가운데 대표적으로 눈에 띈 KBS 정재용 스포츠 국장의 인터뷰를 살펴본다. "올림픽 바라보는 국민 눈높이 달라져,...

스포츠계의 공정 이슈: 무엇을 고민해야 할까?
한국 사회의 스포츠 공정성 전쟁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능력이나 노력만큼 그에 합당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는 사실에 동의한다. 그것이 공정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로워야 하며, 이 나라의...